728x90

그 바닷가에 다녀왔다
내일을 기다리며.
그녀를 보았다
장흥에서도
스톡홀름에서도.
그녀는
'소년'과 함께 '내일'도 데리고 다녔다.








그녀의 아버지가 살고 있는
'해산토굴'에서는
멀리
득량도(得粮島)가 보인다.
나는
득량도에서
충무공을 읽었다.

돌아오는 길에
붉은 꽃 한 송이를 보았다.
붉게 핀
동백꽃 한 송이.

위로 받아야 할 분들에게
아름다운 이 섬을 보낸다.
줄기차게
득량도를 담았던 연유가 이제야 나왔다.
역사의 필연인가?
내일이 온다.
꼭.
위로 받기 위하여
그때는 기뻐서 그 바닷가에 다녀왔다오늘은위로 받기 위해서 그 바닷가에 가야겠다.다시기쁜 날을 위하여그 바닷가를 몇 컷 숨긴다.어느 늦은 저녁 나는한강어느늦은 저녁 나는흰 공기에 담긴
nsangman.tistory.com
어제 블로그를 다시 보시면 새로운 느낌이 들 것입니다.
득량도의 지명의 유래에 대해서 두 가지 설이 있다. 임진왜란 당시에 이순신 장군이 이곳에서 식량을 구했다고 하여 '득량(得粮)'이라는 설과 충무공이 풀을 엮어 산꼭대기에 마름처럼 쌓고 왜군들에게 그것을 군량미로 속인데서 유래하였다는 설이다. 분명한 건 득량도가 역사적인 사연이 있는 섬이라는 사실이다.

728x90
'역사와 문화의 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의 향기, 책의 향기 (0) | 2025.01.14 |
---|---|
갈룡산에서 울돌목까지 (0) | 2024.12.27 |
달마산 도솔암에 오르다 (0) | 2024.11.25 |
창포만에 뜨는 달 (4) | 2024.11.19 |
창포장수(倉浦將帥) 배상옥을 위한 진혼곡 (5) | 2024.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