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뿌리를 찾아서

가을에 핀 홍매화

728x90

영산강변 배꽃
목포의 명자나무꽃
꽃과 개모과
나주 장흥골의 홍매화

 

나주나씨 시조 사당
금호공 나사침의 2자 금암공 나덕준의 사당
금호공 나사침의 3자 금봉공 나덕윤의 사당

 

요즘 제 주위에서 참 신기한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봄에 피는 꽃들이 가을에 피니 말이죠.

 

물론 여름에 피던 금계국이나 기생초들이 지금도 남아 있지요.

그런데 과실나무에서 가을에 꽃이 피는 경우는 처음 봅니다.

 

명자나무꽃은 목포 집 근처에서 날마다 봅니다.

사람들 눈에는 잘 띄지 않는데 제 눈에는 보이네요.

모과나무의 꽃인데, 야생 모과나무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개모과나무라고 들었는데, 크기만 작지, 영락없는 모과 열매가 열였네요.

빨간 꽃이 앙증맞게 예뻐 가슴에 담았습니다.

 

두 번째 소개하는 꽃은 매화인지, 이화(梨花)인지 검색할 수 없네요.

매화 같은데 줄기에 가시가 없고, 배꽃 같은데 줄기가 가늘고 깁니다.

몽탄 근처의 영산강 강변에서 봤는데, 위험해서 근접 촬영이나 검색을 할 수 없었네요.

아시는 분은 댓글 달아 주세요.

 

세 번째 꽃이 저에게 가장 의미가 있습니다.

이건 분명 홍매화입니다.

나주 보산동 장흥골에 우리 나주나씨 시조단(始祖壇)과 조상님들의 산소, 제각(祭閣)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제각 입구에 있는 나무에서 빨간 매화가 피었네요.

 

조금 더 설명이 필요합니다.

그날(1023) 영산강 억새를 촬영하고 아내와 함께 장흥골 선산과 영산포 택촌마을에 있는 선산을 찾았습니다. 장흥골은 일 년에 서너 번씩 가는 곳이고, 택촌마을은 처음 갔지요.

 

이 두 선산에 잠드신 분들과 묘소 전경, 궁궐 같은 제각들은 나중 소개할 기회가 있을 것입니다. 일로에 잠드신 분들보다도 어르신들이 훨씬 많지요.

 

제가 지금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왜 하필 그날 제가 그곳에 갔느냐는 것이죠.

우연이라기에는 참으로 기이한 일입니다.

 

요즘 저에게 좋은 일이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지인들이 그 꽃이 길조라고 하네요.

함께 기쁨을 나누겠습니다.

 

어쩌면 대쪽같은 우리 선조들이 그 홍매화의 개화를 통해 저에게 어떤 교훈을 다시 던지시는 것이 아닐까요?

 

신흠(申欽, 1566~1628) 선생의 시 한 수 소개합니다. 시와 문장이 뛰어나 외교 문서의 제작, 시문의 정리, 각종 의례 문서를 작성하는 데에 참여했던 조선 중기 문신입니다. 그분의 야언(野言)에 나오는 시입니다.

 

오동나무 악기는 천 년이 지나도 항상 곡조를 간직하고

   동천년로항장곡(桐千年老恒藏曲)

 

매화는 일생을 춥게 살아도 그 향기를 팔지 않는다.

   매일생한불매향(梅一生寒不賣香)

 

달은 천 번을 이지러져도 그 본질이 남아 있고

   월도천휴여본질(月到千虧餘本質)

 

버드나무는 백 번을 꺾여도 새 가지가 돋아난다.

   유경백별우신지(柳經百別又新枝)

 

이번 주 금요일

행사의 일환으로 홍매화를 찾아 나주에 갑니다.

 

<천년의 무안 로드스콜라 2.0> 

초대 무안현감 무안공 나자강을 찾아가다.”

 

홍매화!

호남 선비정신의 개화를 기대합니다.

 

   ‘일생을, 추워도 향을 팔지 않는

 

절대 사진만 보지 마세요.

인간 정신의 원동력인 지성, 의지, 감성을 동원해서 보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