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잠일기(栢蠶日記)

금토끼의 탄생

728x90

홍암사 내부

홍암 선생을 뵙던 날, 공께서는 두 번이나 말씀하셨다.

기념관에 있는 홍암사(弘巖祠)와 생가에 있는 일지당(一之堂)에서였다. 환청일까?

 

"바다로 가거라. 가까운 바다로 가거라. 그리고 하늘을 보아라.

 삼일신고의 '허공' 편을 아느냐? 그 허공에 뭔가가 나타날 것이다."

 

 삼일신고는 대종교의 경전이다.  『천부경(天符經)』·『팔리훈(八理訓)』·『신사기(神事記)』와 더불어 대종교의 계시경전(啓示經典)으로, 그 중에서도 으뜸으로 여기는 보경(寶經)이다. 특히 『삼일신고』의 ‘三一’은 삼신일체(三神一體)·삼진귀일(三眞歸一)이라는 이치(理致)를 뜻하고, ‘신고(神誥)’는 ‘신(神)의 신명(神明)한 글로 하신 말씀’을 뜻한다.

 

여기서  삼일신고』가 홍암 나철 선생께 전달된 경위를 소개한다.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에 실린 그대로 옮긴다.

 

1906년 1월 24일 오후 11시, 당시 구국운동으로 동분서주하던 나철(羅喆)이 일본에서 귀국, 서대문역에 도착하여 세종로 방향으로 걸어갈 때, 한 노인이 급히 다가와서, “그대가 나철이 아닌가?” 하고 묻고, “나의 보명은 백전(伯佺)이요 호는 두암(頭巖)이며 나이는 90인데, 백두산에 계신 백봉신형(白峯神兄)의 명을 받고 공(公)에게 이것을 전하러 왔노라.” 하면서 백지에 싼 것을 주고 총총히 가버렸다.

 

나중에 풀어보니 『삼일신고』와 『신사기』가 한 권씩 들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 책의 본문 앞에는 발해국 고왕(高王)의 ‘어제삼일신고찬문(御製三一神誥贊文)’이 있다.

 

또 그 앞에 어제(御弟)인 대야발(大野勃)의 ‘삼일신고서(三一神誥序)’가 있으며, 본문 뒤에는 고구려 개국공신인 마의극재사(麻衣克再思)의 ‘삼일신고독법(三一神誥讀法)’이 있고, 끝으로 특히 발해국 문왕(文王)의 ‘삼일신고봉장기(三一神誥奉藏記)’가 붙어 있다.

 

여기에는 삼일신고가 전해진 경위와 유실(遺失)되지 않도록 문왕이 각별히 노력한 경위가 실려 있다. 이들 내용 가운데 발해국 문왕까지 이 경전이 전해진 경위가 밝혀져 있고, 그 뒤에 대종교까지 전하여진 경위는 백두산의 백봉과 백전 등 32인이 1904년 10월 3일에 발표했다는 ‘단군교포명서(檀君敎佈明書)’에 밝혀져 있다.

 

내용을 요약하면, 이 책은 한배검이 홍익인간·광명이세(光明理世)의 큰 이념으로 팽우(彭虞)에게 명하여 그 가르침을 받게 하고, 고시(高矢)는 동해가에서 청석(靑石)을 캐어 오고, 신지(神誌)는 그 돌에 고문(古文)으로 새겨 전하니, 이것이 이 책의 고문석본(古文石本)이다. 그 뒤 부여조의 법학자 왕수긍(王受兢)이 은문(殷文)으로 단목(檀木)에 새겨 읽게 하니, 이것을 은문단본(殷文檀本)이라 한다.

 

후대에는 이 두 가지가 모두 전화로 없어졌는데, 고구려 때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 전하여져서, 발해국 문왕이 조부인 태조 고왕의 찬문과 대야발의 서문과 극재사의 독법 등을 엮고, 자신의 봉장기를 덧붙여서 어찬진본(御贊珍本)을 만들었다.

 

문왕은 전대에 석본과 단본이 모두 유실되어 후세에 전하지 못함을 안타깝게 여겨, 대흥(大興) 3년 15일 백두산 보본단(報本壇) 석실(石室) 안에 비장(秘藏:숨겨서 소중히 간직함)하였던 것이다.

 

이렇게 비장된 지 1,300여 년이 지나도록 찾지 못하고 있다가 백두산에서 수도하던 백봉신사가 10년을 도천(禱天)하고 한배검의 묵시(默示)를 받아 찾아낸 다음, 뒤에 대종교 초대교주가 될 나철에게 비전하게 되었다고 전하여진다.

 

다른 이야기는 다시 할 기회가 있을 것이다. 오늘은 삼일신고의 제1장 허공(虛空) 편을 소개한다. 

 

제(帝)께서  가로대, 너희들 오가(사람)의 무리들아. 

푸른 것이 하늘이 아니며 검은 것이 하늘이 아니다

하늘은 형상과 바탕도 없으며 시작도 끝도 없으며

위 아래와 사방도 없이 무한하여 비어 있으나

모든 곳에 있으며 감싸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 

 

오늘 사진은 홍암 선생을 뵙던 날, 보성 득량만의 석양이다. 부연하면 보성 하늘에 황금 토끼의 형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풍광이다.  

 

환청이었을까? 그건 설명하기 힘들다. 환상이었을까? 환상이 사진으로 찍힐 수는 없다. 

 

마지막 사진에서 금토끼가 보이시나요?  황금 토끼의 정기를 듬뿍 보냅니다! 

 

일지당 내부

전남 보성군 득량면 비봉리 640

 

 

 

 

 

 

 

2023. 1. 15
금토끼 보이시나요?

 

728x90

'백잠일기(栢蠶日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에게 남은 시간  (0) 2023.01.22
설 인사  (2) 2023.01.21
목포는 항구다  (0) 2023.01.19
목포시(木浦詩) 그리고 새빨간 사실(寫實)  (0) 2023.01.04
해 - 산 - 강  (0) 2023.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