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피고 지고

용천사와 상사화

728x90

 

 

 

 

 

 

 

 

 

 

 

 

 

 

 

 

함평하면 함평 천지·나비축제 ·함평 한우를 떠올린다. 그러나 함평에는 용천사라는 오래된 절이 있다. 이 사찰을 중심으로 근처에 피어있는 상사화도 불갑사와 쌍벽을 이룬다.

 

용천사는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모악산(母岳山)에 있는 사찰이다. 백제 무왕 1(600)에 승려 행은존자(幸恩尊者)가 창건했다고 한다.

 

용천사라는 이름은 현재 대웅전 층계 밑에 있는 샘에서 유래되었다. 전설에 의하면, 서해로 통하는 이 샘에 용이 살다가 승천하였다고 하여 용천(龍泉)이라 불렀으며, 용천 옆에 지은 절이라 하여 용천사(龍泉寺)라 하였다고 한다.

 

용천사의 역사를 알려진 바 그대로 요약한다,

의자왕 5(645) 각진(覺眞), 고려 충렬왕 1(1275) 각적국사(覺積國師)가 중수하였다, 조선 시대에도 세조·명종 때의 중수를 거쳐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으나 정유재란 때 전부 불탔다.

 

인조 16(1632)에 중창하여 그 이전의 규모를 갖추었고, 1638년에는 쌍연(雙衍)이 중수하였다.

 

숙종 31(1705)에 중건한 뒤 단청기를 지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범우고(梵宇攷)·가람고(伽藍考)등의 지리서 및 사찰 관련 문헌에 용천사의 이름이 보인다.

 

참으로 운명이 기구하다,

 

1938년에 다시 중수하였으나, 6·25전쟁 때 인민군들의 방화로 또 전부 불탔다. 1964년에 금당(錦堂)이 옛 보광전 자리에 대웅전과 요사를 지으면서 중창하였다. 1996년에는 대웅전을 새로 지어 오늘에 이른다.

 

문화재로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84호인 석등(石燈)과 해시계가 있다. 쑥돌로 만든 높이 2.37m의 석등은 1685(숙종 11) 6월에 만들었는데, 그 크기나 짜임새가 투박하면서도 정감이 있어 조선 시대 석등 최고의 수작으로 꼽힌다.

 

해시계는 석등과 동시대에 만든 것으로 6·25전쟁 때 유실되었다가 1980년 경내의 흙더미 속에서 발견되어 보관 중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문화재의 절반은 사찰에 있다.

 

우리나라 사찰의 역사는 한국사의 축소판이다.

 

불타면 다시 짓고, 또 타면 다시 짓고.

용천사의 역사 속에서 우리 민족의 끈기를 읽는다.

 

상사화만 보지 마라.

 

용천사 다시 가야겠다.

석등과 해시계 찍으러 다시 가야겠다.

 

 

728x90

'피고 지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벽당 상사화 결정판  (0) 2021.09.03
광주 '시민의 솟음길'과 상사화  (0) 2021.09.02
불갑사와 호랑이  (0) 2021.08.30
불갑사와 상사화  (0) 2021.08.30
불갑사 상사화  (0) 2021.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