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은 축제의 달이다. 전국 각지에서 많은 종류의 축제가 열리고 있다.
내 고향 목포도 이번 주에 축제가 하나 있다. 2024년도 목포항구축제가 10월 11일부터 13일까지 개최된다.
박성현 화업(畵業) 50년
'화비화(花非花)'와 함께하는
'목포는 항구다 '
목포항구축제를 격상시킬 전시회의 제목이다. 축제의 개막과 함께 문화예술회관에서 오프닝 행사를 갖는다.
박성현 화백은 목포 출신으로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장과 예술대학원장을 역임한 서양화가다. 내 블로그에서 여러 차례 소개했었다.
그가 화가 인생 50년을 중간 점검하며 여러 대작들을 목포에 펼친다. 그 제목이 백거이의 '화비화'이다. 시와 그림의 만남이다.
그런데 박성현 화백이 그림만 갖고 고향 목포에 오는 것이 아니다. 그가 그동안 가르쳤던 40여 명의 제자 화가들과 그들의 작품 60여 점을 함께 몰고(?) 오는 것이다.
그 전시회의 제목이 '목포는 항구다'이다. 모두 목포를 소재로 한 작품들이다.
박 화백의 고향 사랑을 목포와 목포 시민들은 어떻게 화답해야 할까. 전시회장을 가득 채워 문화도시 목포의 저력을 발휘해야 한다.
문화도시는 예술가가 만드는 것이 아니다. 극장과 전시장을 자주 찾는 시민이 많아야 한다.
박 화백과 함께 사진 전시회를 하고 싶었다. 그림 같은 사진을, 목포를 소재로 하는 작품을 함께 올리고 싶었다.
2000년도에 경기대에서 인연을 맺었으니 어언 24년이 지났다. 내년을 기약하며 이 공간에 몇 개의 작품을 건다.
화비화(花非花) 화비화(畵非畵)
목포는 항구다

목포는 항구다
작사/조명암, 작곡/ 이봉룡, 노래/이난영
영산강 안개 속에 기적이 울고
삼학도 등대 아래 갈매기 우는
그리운 내 고향 목포는 항구다
목포는 항구다 똑딱선 운다
유달산 잔디 위에 놀던 옛날도
동백꽃 쓸어 안고 울던 옛날도
그리운 내 고향 목포는 항구다
목포는 항구다 추억의 고향
여주로 떠나갈까 제주로 갈까
비 젖은 선창머리 돛대를 달고
그리운 내 고향 목포는 항구다
목포는 항구다 이별의 고향

花非花(화비화)
白居易(백거이)
花非花(화비화)
霧非霧(무비무)
夜半來(야반래)
天明去(천명거)
來如春夢幾多時(내여춘몽기다시)
去似朝雲無覓處(거사조운무멱처)
꽃이려니 꽃이 아니고
안개려니 안개가 아니로다.
깊은 밤 찾아와
날이 밝아 떠나가네.
찾아올 땐 봄날 꿈처럼 잠깐이더니
떠나갈 땐 아침 구름처럼 흔적이 없네그려.























'목포는 항구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것이 목포의 석양이다 (0) | 2024.12.26 |
---|---|
목포, 그곳에 가면 (3) | 2024.09.30 |
추분, 새벽에서 아침까지 (0) | 2024.09.23 |
갈매기 - 목포 - 석양 (0) | 2023.12.21 |
두 번째 눈 내리던 날 (0)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