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량 썸네일형 리스트형 갈룡산에서 울돌목까지 나라가 시끄럽다.위기다.날씨가 매섭다.참으로 춥다.목포에 내려온 아이를어디로 데리고 갈 것인가?일로장터를 거쳐주룡나루와 갈룡산을 다녀왔다.그곳은우리 선조들의 숨결이 숨쉬는 곳이다.특히갈룡산에는 무안공 할아버지의 제각과 유택이 있다.딸이지만그 정도는 알아야 된다.역사를공부했던 딸이 자신의 뿌리를 알아야 한다고 믿었다.일로 갈룡산까지는내 의지였다.진도 방향으로핸들을 돌린 건 아내였다.그러나어쩌면선조님들이 그렇게 인도하신 것이 아닐까?그렇게우리는 울돌목에서 충무공을 만나게 되었다.춥고 매서운 명량의 겨울 바다를 지키고 있는... 공이시여!이 나라를 지켜주소서! 진도가어제문화도시로 선정되었다.딸아!이 사진이 소중한 선물이 되길 기대한다.2부로 이어집니다. 진도 신기항의 석양강과 바다.어떤 차이가 있을까?울.. 더보기 크루즈 '명량호' 출항을 기대하며 2021년 4월 28일은 이순신 장군의 탄신 476주년이었다. 충무공의 탄신제가 있었던 다음날 장군의 발자취를 따라 해남과 진도를 찾아갔다. 해남에는 전라우수영이 있고, 진도에는 벽파진이 있다. 그 사이를 흐르는 물길이 울돌목이다. 지금은 진도대교가 연결되어 해남과 진도는 한 몸이 되었다. 울돌목(명량해협)은 수심이 얕아서 배가 항해할 수 있는 범위는 좁고, 그중에서도 밀물 때 넓은 남해의 바닷물이 좁은 울돌목으로 한꺼번에 밀려와서 서해로 빠져나가면서 해안의 양쪽 바닷가와 급경사를 이뤄 물이 쏟아지듯 빠른 조류가 흘렀다. 울돌목 물살의 또 다른 특징은 수십 개의 크고 작은 암초가 솟아 있다는 점이다. 급하게 흐르던 물살이 암초에 부딪혀 방향을 잡지 못하고 소용돌이치게 되는 것이다. 1597년 9월 16일..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