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썸네일형 리스트형 8월 29일 단상 8월 30일 금요일. 8월의 끝자락이다. 아침까지 블로그에 올릴 사진을 결정하지 못했다. 1910. 8. 29 경술국치(庚戌國恥) 114년 전의 그날의 날씨는 어떠했을까? 치욕의 역사도 기억해야 한다. 8월 29일. 어제 하구언 밑쪽 나불도에 다녀왔다. 2년 전의 그 바다와 석양을 기대하며 갔었다. 실망이다. 아니 걱정이다. 녹조가 심각하다. 시원한 바람은 불지만 악취가 진동하여 계속 머무를 수가 없었다. 결국 압해도로 옮겼다. 영산강도 녹조가 심각하다. 날씨가 더워 단절된 강과 바다에 녹조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하늘은 높고 푸르지만 뜨겁다. 영산강 강기슭이 온통 녹색이다. 목포 바다의 한 구석이 악취로 진동한다. 새들이 어디로 갔는지 보이지 않는다. 철을 모르고 핀 등나무꽃을 보았다. 며칠 전에는 개나.. 더보기 나불도의 가을 이야기 1 오늘은 ‘나불도’로 시작해서 나불도로 끝내려고 한다. 오늘 새벽부터 아침까지 그곳에서 목격한 사람은 4명에 불과하다. 평상시에도 마찬가지다. 전라남도가 초창기 많은 투자를 하여 농업박물관을 짓고 영산재 한옥 호텔을 운영하고 있지만 썰렁하기만 하다. 코로나 위기 탓만은 아니다. 전라남도 지사와 영암 군수한테 힌트 하나 드리겠다.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나불도가 역사적으로 주목을 받은 적은 없다. 그러나 ‘나불도’ 라는 땅 이름에는 그럴싸한 전설이 전해 오고 있다. 소승 불교에서, 불제자 중에 번뇌를 끊어 더 닦을 것이 없어, 공양을 받을 만한 덕을 갖춘 사람을 ‘아라한(阿羅漢)’이라고 한다. 이 아라한을 줄여서 나한(羅漢)이라고 하는데, 아주 옛날 나한과 부처님이 영산강을 건너 '피안(彼岸)의 섬'으로 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