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술 논문

스타니스랍스키연기대학 공연무술학과 커리큘럼 (BFA in Performing Martial Arts) STANISLAVSKY COLLEGE OF ACTING BFA in Performing Martial Arts Introduction to Major The first of its kind in the world, the Department of Performing Martial Arts seeks to create a new branch of performing arts through linking together performance with martial arts. By discovering the elements in performing and characteristics of acting in various forms of martial arts which be.. 더보기
스타니스랍스키연기대학 연기학과 커리큘럼 (BFA in Acting) STANISLAVSKY COLLEGE OF ACTING BFA in Acting Introduction to Major Concentrate on training actors who, being centered in theatre that was both the beginning and foundation of acting, can adapt easily to various mass media such as film, television and radio, keeping up with fast changing popularization in this informational age. A special difference from other universities and .. 더보기
스타니스랍스키 시스템의 한국수용 소고 스타니스랍스키 시스템 한국수용 소고 -스타니스랍스키연기원을 중심으로- 나상만 (스타니스랍스키연극재단 이사장) 1. 들어가며 스타니스랍스키가 미국연극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레이몬드 톰슨(R. L. Thompson)은 스타니스랍스키를 분기점으로 연극의 역사를 구분한다. 의 편집자가 적절하게 지적하듯 거장의 영향력은 “예전부터 모든 선두주자들에게 침투되었다.” 그러나 스타니스랍스키 시스템의 수정된 개념인 ‘신체적 행동법’이 정확하게 수용되고, 그것이 교육과정에 완벽하게 반영된 나라는 많지 않다. 러시아 교육계가 인정하듯이 한국은 시스템이 가장 단기간에 정확하게 수용된 유일한 나라다. 그 중심에는 모스크바 슈우킨 연극대학과 한국의 스타니스랍스키연기원이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할 시기가 되었다. 올해는 스타니스랍.. 더보기
메이에르홀드의 생체역학적 연기론 메이에르홀드의 생체역학적 연기론 나상만 1. 들어가며 콘스탄틴 스타니스랍스키(К. С. Станиславский)와 함께 현대연극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프세볼로드 에밀리에비치 메이에르홀드(В. Э. Мейерхольд)는 그의 다양한 연극 실험을 통해서 20세기의 연극 역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러시아의 연출가이자 연극이론가이다. 그는 40여년에 가까운 연출활동을 통해서 다양한 실험과 연구로 연극을 다시 연극적(theatrical)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는 “생활이 아닌 예술로서의 연극”을 제안하고 “논리적인 효과보다는 미적인 효과”를 추구하였다. 그가 명명한 바, 관객이 연출가의 비전을 보는 모스크바 예술극장의 ‘삼각형 연극’을 배격하면서 “연기자가 관객에게 자신의 영혼을 자유롭게 나타내는” .. 더보기
연기교육학의 어제와 오늘 연기교육학의 어제와 오늘 - 스타니스랍스키 시스템을 중심으로 - 1. 들어가며 1997년은 러시아 연극인들에게 있어 매우 의미 있는 해이다. 유럽 연극의 변방에 머물러 있던 러시아 연극이 세계연극의 중심지로 부상하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된 것은 모스크바 예술극장의 설립에 있다. 당시 .. 더보기
<나상만의 연기학> 저자 서문 서문 연기를 학문의 대상으로 삼아 공부하고 가르친 지 어언 30여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이 책은 그동안 발표했던 연기에 관한 논문과 교육과정에서 적용했던 글과 스타니스랍스키가 『배우수업』에 포함시키고 싶어 했던 중요한 글들을 모아 번역하여 엮었습니다. 은 『한국연극』이 특집으로 편집한 의 청탁 원고를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1997년에 쓴 글이지만 연기교육의 도정(道程)과 연기교육의 현주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 큰 손질 없이 그대로 실었습니다. 그러나 지면의 한계로 싣지 못했던 부분을 보완하며 주석을 달았습니다. 또 의 교육 프로그램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으니 졸저 『스타니스랍스키, 어떻게 볼 것인가?』의 부록에 실린 연극대학의 학년별 교육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읽는다면 스타니스랍스키 시스템의.. 더보기

LIST